소아청소년관련정신질환
학.습.장.애
학습장애는 지능과 무관하게 학업수행(읽기, 쓰기, 또는 계산능력)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를 말합니다.
학습장애가 적절히 치료되지 않고 방치되면 이차적으로 정서적인 문제가 발생하여 아동의 사기가 떨어지고, 자존심 저하, 사회적 기술의 결여 등이 동반되게 됩니다.
종류 및 증상
읽기장애 |
|
산술장애 |
|
쓰기장애 |
- 문장의 문법이 맞지 않음 - 구두점을 잘못 사용함 - 문단의 구성이 빈약함. - 철자법의 실수가 많음. (예: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 - 글씨를 알아보기 힘들게 쓰는 경우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는 부주의, 충동조절의 어려움, 또는 과행동성이 동등한 발달수준에 있는 또래들에게 보이는 것보다 더 자주, 더 심하게, 더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성인이 되어서도 증세가 유지되는 경우가 많고 우울증과 품행장애, 학습장애, 언어장애 등과 함께 나타나기도 합니다.
증상
주의력결핍 |
|
과잉 및 충동적 행동 |
|
틱장애
틱(Tic)이란 갑작스럽고 빠르며 반복적, 비율동적, 상동적인 움직임이나 소리를 말합니다.
틱은 아무런 목적 없이 갑작스럽고 빠르고, 반복적으로 비율동적인 움직임(운동틱) 또는 발성(음성틱)이 나타나는 것으로 순간적인 눈 깜박임, 목 경련, 얼굴 찌그림이나 어깨 으쓱임 등으로 나타납니다.
증상
뚜렛장애 |
|
과잉 및 충동적 행동 |
|
일과성 틱장애 |
|
< 그림. 틱의 분류와 대표적인 행동 예 >
|
|
![]() ▶ 단순 근육틱
하나 혹은 소수의 근육군이 관여합니다.
눈깜빡거림, 눈알 빠르게 움직이기, 머리흔들기, 코 찡긋하기, 머리뒤로 젓히기 |
![]() ▶복합 근육틱
여러근육이 동시에 수축하고 마치 의도한 행동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냄새 맡는 것처럼 콧구멍 벌렁거리기, 자신을 치는 행동, 갑자기 일어나는 행동 |
![]() ▶ 단순 음성틱
빠르고 의미 없는 소리를 내는 것입니다.
가래 뱉는 소리, 킁킁거리는 소리, 기침소리, 쉬 소리, 침뱉는 소리 |
![]() ▶ 복합 음성틱
자신도 모르게 사회적상황에 맞지않는 관계가 없는 단어나 구,절 등을 말하는 것입니다.
"에고", "웃겼어" |
소아·청소년우울증
병적인 우울증이 있는 소아, 청소년들은 정상적인 슬픔이나 우울의 범위를 넘어, 여러 가지 증상들 때문에 고통 받게 됩니다. 우울증을 앓는 소아ㆍ청소년들은 우울한 감정 외에, 불안이나 지나친 두려움, 우울한 모습이 없이 짜증스럽거나 언짢아 보이기만 할 수도 있습니다.
우울증은 치료받지 않으면 몇 개월에서 몇 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대인관계문제, 직업적인 기능상실(학업부진 등), 무능력, 죽음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증상
우울증 증상은 성인에서와 같음 우울한 기분, 흥미나 즐거움 상실, 짜증 등의 과민한 기분 체중감소 또는 체중증가 불면 또는 과다수면 좌불안석 또는 처진 느낌 피로, 무가치감, 부적절한 죄책감, 주의집중력 저하 죽음에 대한 생각 청소년의 경우 부정적, 반사회적 행동 및 알코올, 약물남용 등 외재화 행동 (적대적 반항장애, 행동장애, 약물남용 등 추가 진단될 수 있음) 우울증상으로 인해 학업성취, 친구 및 가족관계 등 사회적 문제 발생 심할 경우, 환각과 망상 등 정신증적 양상 동반됨 우울환청 : 경멸하는 내용, 죽음 또는 자살과 관련된 내용이 단일 목소리로 머리 밖에서 들리는 경우 우울망상 : 죄책감, 신체질병, 죽음, 허무주의, 처벌, 피해와 관련된 내용
아이가 평상시와 달리 짜증이 많아지고, 자주 울거나, 침울해 하고, 성적이 떨어질 때 대부분의 부모들은 덩달아 아이에게 짜증을 내고 아이를 비난하기 쉽습니다.
어른이 보기에 대수롭지 않은 일이 아이에게는 치명적인 마음의 상처가 될 수가 있으므로 한 걸음 뒤로 물러서서 아이의 행동을 관찰하고 아이가 무슨 일로 마음에 상처를 입었는지 아이의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이란 컴퓨터 사용 및 인터넷 이용과 관련된 과도한 집착이나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고, 이로 인해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우울증, 사회적 고립, 충동조절장애와 약물 남용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
증상
강박적 집착과 사용 |
|
내성과 금단 |
|
일상생활장애 |
|
신체적 증상 |
|